이 글은 도레미 파이썬 강의 중 기억하면 좋을 것 같은 포인트를 정리한 글입니다.
주석 달기
1) 한 줄 주석
# 파이썬 한 줄 주석
# 이렇게 '#'을 쓰고 한 칸 띄운 후에 글을 작성하면 됩니다.
def juseok():
print("한 줄 주석")
2) 여러 줄 주석
"""
여러 줄 주석은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큰 따옴표 세개로 시작하고 끝내는 방법입니다.
"""
'''
두번째는 작은 따옴표 세개로 시작하고 끝내는 방법입니다.
두 방법이 있다면 키보드 누르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 작은 따옴표를 쓰는게 더 좋겠죠?
'''
3) 주석 사용시 주의사항
파이썬 주석은 '들여쓰기' 를 해줘야 한다.
class juseok:
'''
이렇게 주석을 달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
def __init__(self):
a = 10
b = 20
class juseok:
'''
올바른 예시
'''
def __init__(self):
a = 10
b = 20
변수 이름 짓기
숫자, 알파벳, 한글, 언더바(_)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아래 금지 규칙을 지켜야 한다.
#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
1st = ["apple", "banana"]
# 숫자로만 구성된 변수 이름도 안된다.
123 = "123"
# 파이썬 문법에서 사용되는 예약어를 사용하면 안된다.
if = ["i","am","a","boy"]
# 공백 문자()와 연산자(+,-,% 등)를 사용하면 안된다.
ph-1() = "rapper"
연산자
1. 할당연산자, 복합할당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s)
=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넣는다. 할당한다')
i = 1
+= -= *= /= %= **= //= (오른쪽 값을 왼쪽 값과 ~한 후 왼쪽에 할당한다)
#예시
a += b
a = a + b
a -= b
a = a - b
2. 산술연산자 (Arithmetic)
+ - * /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3. 특수연산자
** (제곱 연산자)
// (몫 연산자)
% (나머지 연산자)
나머지 연산자 예시 (홀짝 판별기)
x = input()
num = int(x)
if num % 2 == 1:
print(num, "은 홀수입니다.")
else:
print(num, "은 짝수입니다.")
4. 비교연산자 (Comparison Operators)
== (둘이 같으면 True)
!= (둘이 다르면 True)
> (왼쪽이 오른쪽을 초과하는 데이터면 True)
< (왼쪽이 오른쪽보다 미만이면 데이터면 True)
>= (왼쪽이 오른쪽 이상이면 True)
<= (왼쪽이 오른쪽 이하면 True)
인덱싱 / 슬라이싱
인덱싱 : index를 이용해 리스트나 문자열의 특정 위치의 원소를 가져오는 방법
alpha = "Ready"
print(alpha[1])
>>> e
슬라이싱 : index를 이용해서 리스트나 문자열의 일부분을 잘라서 가져오는 방법
string(문자열)/list(리스트) [a(시작 인덱스) : b(종료 인덱스)]
beta = [2,4,6,8,10,12,14]
print(beta[2:5])
>>> [6,8,10]
#2번째 이상 5번째 미만
반응형
'Programming > 5.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개념 정리 2_도레미 파이썬 (0) | 2021.05.07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