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107

02_(React 에러) Assign arrow function to a variable before exporting as module default import/no-anonymous-default-export 해결법 증상 원인 해결책 2021. 8. 1.
[Node.js] 백준 1934번: 최소공배수 해설 먼저 테스트케이스 수는 따로 빼둔다. 이 문제는 최대공약수를 구하고 나서 그 값을 이용해 최대공배수를 구하면 된다.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법은 a를 b로 나눈 나머지가 r이라고 하면 GCD(a,b) - GCD(b,r) 이 되는데, 이 과정을 반복해서 r이 0이 되는 순간 나오는 b의 값이 바로 최대공약수이다. 최소공배수는 두 수 a와 b를 곱해준 뒤 최대공약수로 나누면 구해진다. 정답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const ts = +input.shift(); let result = ""; function gcd(a,b) { while (b !== 0) { let r = a % b.. 2021. 7. 28.
[Node.js] 백준 1110번: 더하기 사이클 해설 우선 더한 값을 받아줄 sum 변수과 연산을 진행할 변수인 num, 그리고 answer를 만들어준다. while 루프로 값이 나올 떄까지 진행한다. 먼저 sum에는 아래 코드와 같이 10의 자리 수와 1의 자리 수를 구분해 더해준다. 그리고 num 변수에 num의 1의 자리 수를 10의 자리 수로 만들고 sum의 1의 자리 수를 합쳐준다. 이 과정을 반복하다가 num과 input이 같아지면 멈춘다. 정답 const input = Number(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 let num = input; let sum; let answer = 0; while (true) { answer++; sum = Math.floor(num / 10.. 2021. 7. 28.
011_flask 기초 (~7/16) 아직은 어색한 미래의 친구, 플라스크!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번 주 내내 백엔드 시스템을 이해하느라 꽤 고생했는데, 아직도 뭔가 좀 흐릿한 기분이다. 알듯 말 듯한 이 찝찝한 기분에서 얼른 벗어나고 싶은데, 아마 곧 다가올 개인 프로젝트 시간에 제대로 혼쭐이 나야 내 것으로 체득할 수 있을 것 같다. 우선은 이번 주에 배웠던 이론부터 다시 정리해보면서 다시 감을 잡아봐야겠다. (얼른 리액트 공부하고 싶..) 웹 서버 동작 과정 간단히 이해하기 이 웹 상에는 크게 클라이언트(사용자 / 내 컴퓨터 / 브라우저 등) 와 서버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그 답으로 데이터를 돌려주는 곳)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가 웹 상에서 검색을 하거나 주소창에 주소를 치고 배너를 클릭하는 행위 등 이 모든 것들이 요청이다. 서.. 2021. 7. 18.
002_indexOf() 와 findIndex() 바쁜 분들을 위한 결론 indexOf()는 배열의 특정 값을 입력하면 그 값이 몇번째인지 알려주는 함수이다. 단, 배열 속 객체에 적용을 하면 -1(일치하는 값 없음) 이 출력된다. 이럴 때 findIndex()를 사용하면 배열 속 객체를 검색해 그 객체가 몇번째인지 알려준다. 예제 // indexOf() const alphabet = ['a', 'b', 'c', 'd', 'e', 'f']; const index = alphabet.indexOf('c'); console.log(index); // 2 // findIndex() const todos = [ { id = 1, todo = '빨래하기', finished = true }, { id = 2, todo = '자바스크립트 공부하기', finished.. 2021. 7. 18.
001_forEach와 map의 차이 바쁜 분들을 위한 결론 forEach는 배열 요소를 하나씩 불러내 함수를 적용한 후 각각 내보낸다. map은 배열 요소를 하나씩 불러내 함수를 적용한 후 새로운 배열에 저장해 내보낸다. 즉 forEach는 배열 해체, map은 배열 재결합인 셈이다. 예제 // forEach const numbers = [1, 2, 3, 4, 5]; numbers.forEach(num => { console.log(num); }); // 1 // 2 // 3 // 4 // 5 // map const arr = [1, 2, 3, 4, 5]; const squared = arr.map(n => n * n); console.log(squared); // [1, 4, 9, 16, 25] 위 차이처럼 forEach는 배열의 요소들.. 2021. 7. 18.
[Node.js] 백준 10952번: A+B -5 해설 우선 받아온 입력값을 개행문자를 기준으로 나눠준다. 그리고 while문 바깥에 변수 i를 만들어 for문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하고 변수 answer을 만들어 마지막에 한번에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출력을 while문에서 하지 않고 나중에 하는 이유는 console.log가 메모리를 꽤 잡아먹기 때문이다. (시간 초과 이슈) 그 다음 while문을 만들어 계산할 때마다 i값이 1씩 더해져서 input 개수만큼 돌아가도록 설정한 뒤 각 케이스를 불러와 공백으로 나눠진 값을 나눠 각각 a, b에 담는다. 그리고 조건에 입력의 마지막에 0 두 개가 들어온다는 것을 이용해 if문으로 0이 들어오지 않았을 때 개행문자를 포함한 합을 구해준다. 0이 두 개 들어온다면 그 즉시 while문을 끝내고 answe.. 2021. 7. 17.
백준 2438번 : 별 찍기 - 1 문제 : 입력한 수만큼 1개부터 하나씩 별이 추가되면서 출력하기 사용 언어 : Node JS 해설 : 빈 변수를 하나 생성해주고 for문을 돌려서 별이 하나씩 추가되고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정답 :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 let star = ""; for (let i = 0; i < input; i++) { star += "*"; console.log(star); } 2021. 7. 17.
백준 10950번:A+B - 3 문제 :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B를 출력한다. 사용 언어 : Node JS 해설 : input 값을 나눠준 뒤 for문 안에서 계산할 숫자들을 공백 기준으로 분리해주고 각각 숫자로 바꿔서 더해준다. 정답 : 2021. 7. 17.
010_SQL (07/13) 백엔드 1주차 수업 시작! 한 주만에 돌아온 TIL 시간이다. 저번 주에는 그래도 내가 미리 공부했었던 HTML, CSS, JavaScript 파트여서 TIL을 작성할 여유가 있었는데, 이번 주는 2주차의 악몽이 사알짝 떠오를 정도로 수많은 정보들이 들어왔던 한 주였다. 정말 한 3일간은 수업이나 강의를 들어도 머리속에 '???' 가 가득 찼었는데 (다행이 같이 듣는 분들도 나와 비슷한 상황이었던 분들이 많았던지라 무언의 위로를 받았...ㅎ) 이번 주차 마지막 날 즈음 되니까 조금은 정리가 되는 기분이다. 강의에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 개인 자습에 정보 탐색에 이래저래 정신 없는 나날이 이어지고 있는데 바짝 정신 차리고 초심 그대로 열심히 해야지!! 오늘의 블라블라는 여기까지 하고 우선 SQL부터 정리를 .. 2021. 7. 16.
009_JavaScript 기초 (7/8-9) 험난했던 웹 프로그래밍 기초 끝! 오늘까지의 자바스크립트 강의를 끝으로 프로그래밍 기초 과목이 끝이 났다. 매우 다양한 내용들을 짧은 기간동안 학습했는데, 그러면서 느낀 점은 개인적으로 공부를 더 많이 해야겠다는 점이었다. 아무래도 이 프로그램 특성상 짧은 기간동안 다양한 분야에 대해 가르치기 때문에 이것이 장점이 될 수 있지만 반대로 깊이 배우기가 힘들다는 점이 있기 때문에 예습 및 복습을 얼마나 철저히 하는지에 따라 6개월 후 레이서들의 실력이 많이 차이가 날 것이다. 내년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만큼 스스로 정보도 많이 찾고 자습 시간도 충분히 가져서 취업할 자격을 당당히 갖춘 사람이 돼야지! 💪🏻 🚀 TIL에 들어가기 전 미래에 엘리스 ai 트랙을 듣게 될 프론트엔드 지망생들에게 드리는 팁(?) .. 2021. 7. 9.
백준 10951번:A+B -4 문제 :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B를 출력한다. 사용 언어 : Python 오답 사유 : try와 except의 사용법을 몰랐다. 해설 : try, except문은 오류나 예외 처리를 위한 구문이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try: 실행할 코드 except: 예외가 발생했을 때 처리하는 코드 이 문제에서는 전 문제처럼 오류가 없으면 계속 실행하도록 설정이 돼있다. 그러므로 예외 상황에서는 루프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except문을 작성한다. 정답 : 2021.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