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OP124

004_Create React App 기본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서론 최근 기업 과제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Create React App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니, 사실 전부 CRA로 시작했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별 생각없이 예전에 봤던 노마드코더의 강의대로 기본 파일들을 대부분 지워버리고 남는건 App.tsx, Index.tsx 뿐인 상태로 시작했었는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분명 기본적으로 정말 필요한 파일들만 모아 CRA를 만들었을텐데 뭔지도 모른 상태에서 너무 무지성으로 삭제한건 아닐까? ' 그래서 준비했다! 지우더라도 최소한 뭔지 알고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이번 포스팅을 작성해보기로 했다. 리액트를 좀 더 리액트스럽게 쓰기 위한 기초를 이번에 제대로 배워보자. 설치 방법 + 기본 구조 혹시 모르니 설치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 2022. 1. 18.
06_(Netlify 배포 에러) TypeError: Minicssextractplugin is not a constructor Netlify에 CRA로 만든 프로젝트를 배포하려하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메세지가 발생했다. 해결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우선 원인이 되는 mini-css-extract-plugin을 다음 버전으로 설치한다. // npm npm i -D --save-exact mini-css-extract-plugin@2.4.5 //yarn yarn add -D mini-css-extract-plugin@2.4.5 그리고 package.json에 다음 문구를 추가하면 에러를 해결하고 성공적으로 배포할 수 있다. "resolutions": { "mini-css-extract-plugin": "2.4.5" } 출처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716372/minicssextract.. 2022. 1. 18.
003_코어 자바스크립트 챌린지_1 시작하기 앞서 엘리스 AI 트랙이 끝난지도 벌써 보름이 넘었다. 지난 6개월을 돌아보자면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이터분석, AI까지 정말 방대한 분야를 엘리스 AI 트랙을 수강하며 접했던 시간이었다. 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분야를 짧은 시간 듣다보니 깊이있는 지식을 얻어가기엔 다소 부족한 시간이 아니었나 싶다. 특히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인 프론트엔드 파트에 대해 얼마나 학습했나 돌아본다면, '어찌저찌 프로젝트에서 기여한 수준' 정도에 머물 정도만큼 학습하지 않았나 싶다. 그래서 이 챌린지를 시작하기로 했다! 프론트엔드의 가장 근간이 되는 자바스크립트부터 제대로 학습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이후의 다른 기술들을 배우는데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늘어지지 않기 위해 '챌린지' 를 붙여 책을 .. 2022. 1. 12.
05_(React 에러) favicon 업데이트 에러 에러 내용 CRA로 생성한 후 기본 파비콘을 변경하려 하는데 새로운 파비콘을 폴더에 넣어도 적용이 되지 않는다. 원인 브라우저가 캐시에 있는 이전 이미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해결법 파비콘 url을 다음과 같이 변경해준다. /* 기존 링크 */ /* 변경한 링크 */ ?v=2를 붙여주면 브라우저가 강제로 파비콘을 새로고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참고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1994375/favicon-in-react-will-not-update/54958814 2022. 1. 4.
019_마지막 프로젝트, 그 여정의 시작(完) 5주간의 프로젝트, 그리고 6개월간의 프로그램이 끝났다. 클리셰지만 어쩔 수 없이 쓰는 말, '시간이 참 빨리 지나갔다'. 이 말이 가장 먼저 떠오른 이유는 매일매일 바쁘고 정신없이 배우고 복습하고 적용하는 시간을 가졌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일단 마지막 소감은 뒤에 따로 정리하는걸로 하고 마지막 블로그 글로부터 지금까지 달려온 기억들을 하나하나 적어보고자 한다. 5주간 진행된 프로젝트라 그런지 얼떨결에 시리즈 형식의 글이 됐는데, 한참 진행하고 있는 3기 분들, 그리고 이제 막 지원하신 4기 분들에게 이 글 포함 나머지 글들이 앞으로의 일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이것이 메타버스인가..? 우리 팀은 엘리스에서 제공한 대화방이 아닌 새로운 서버를 만들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일반, 프론트엔드, 백엔드,.. 2021. 12. 17.
018_마지막 프로젝트, 그 여정의 시작(2) 이번 프로젝트를 설명하기 전에 엘리스 AI 트랙 4기를 모집하는 공고 페이지에 지난 프로젝트 결과물이 올라왔다! 그것도 가장 첫번째 위치에 우리 팀이 만든 프로젝트 영상이 떠있는걸 보면서 기분이 참 이상했다. 2기에 지원하기 위해 공고 페이지에 들어갔을 때 1기 결과물 페이지를 보고, '참 잘 만들었다. 나도 저렇게 할 수 있을까?' 라는 부러운 기분이 들었는데 어느새 4기에 지원하실 분들께 2기를 대표하는 프로젝트로써 이렇게 소개된다니..! 마지막 프로젝트도 완성도 높게 잘 마무리해서 반드시 엘리스 AI 트랙을 대표하는 프로젝트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봐야겠다 ✨ 이제 다시 본론으로! 지난 포스팅에 예고했듯 이번에는 현재 프로젝트의 세부 기능이나 기술적인 측면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다뤄보고자 한.. 2021. 12. 4.
017_마지막 프로젝트, 그 여정의 시작 드디어 마지막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6월부터 시작해 어느덧 11월 중순을 지나고 있는 지금, 엘리스 AI 트랙도 이제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그리고 그 끝을 화려하게 장식할 마지막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많은 기업 관계자(후에 팀 선임이 될 수도 있는...?) 분들이 오셔서 프로젝트를 평가하는 데모데이가 있는 만큼 그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마음껏 뽐내보려 한다. 그리고 그 과정을 앞으로 레이서 블로거로써 활동하는 기간 동안 최대한 모두 보여주려 한다! 이번엔 팀장이 아닌 팀원으로 이번 프로젝트에서 팀원으로써 활동해야겠다고 결심한 이유는 크게 두가지다. 첫 번째로 프론트엔드 파트에만 온전히 집중하고 싶어서였다. 지난 프로젝트에서 팀장으로 활동하면서 기획, 개발, 팀 관리, 발표 등 많은 파트를 담당하다 보.. 2021. 11. 20.
016_현업 개발자님과의 만남 with 엘리스 궁금한 게 많을 시기, 단비 같은 멘토링 시간! 6개월간의 엘리스 AI 트랙도 이제 약 1달 정도만을 남겨놓고 있다. 그동안 내 머릿속에는 프로그래밍 지식과 프로젝트 경험들이 차곡차곡 쌓여갔지만, 항상 어딘가 비어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 지식들만으로 과연 취업을 할 수 있는지, 지금 내 상태는 어떤지, 그리고 현업에 들어가기 위해 어떤 부분을 좀 더 준비해야 하는지 등 실질적인 조언이 필요할 때쯤, 엘리스에서 단비 같은 기회를 제공해줬다. 바로 직무 멘토링 시간이었다. '저는 이렇게 취업했습니다.' 직무 멘토링은 같은 직군을 희망하는 레이서 5-6명이서 한 조가 되어 멘토 1분의 멘토링을 듣게 된다. 우리 조는 현재 직방에서 근무하고 계신 개발자님께서 참여해주셨다 🥳 직방이라니.. 회사명을 보자마자.. 2021. 11. 6.
015_엘리스 프로젝트가 궁금하신가요? (完) Dobby is free..? 😆 드디어 3주간의 기나긴 프로젝트가 끝났다! 마지막까지 기능을 구현하고 코드를 수정하고 발표자료까지 준비하느라 제대로 못 잤던 프로젝트 일정들이 이제는 어느새 추억이 되어버렸다...? 아니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라고 했던가. 프로젝트를 마치고 우리 팀은 제대로 마무리하기 위해 다시 코드 창을 열었는데, 지금부터 엘리스 프로젝트 2탄 작성일로부터 이 글을 작성하는 현재까지의 일들에 대해 작성해보며 이번 프로젝트에 대한 시리즈를 마무리해볼까 한다. 이보쇼. 여긴 아무나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니오. 지난 게시글에서도 간단히 소개했지만 3주간의 프로젝트 기간 동안 담당 웹 코치님께 총 3번의 MR (Merge Request, 깃헙에서는 Pull Request라고 부른다... 2021. 10. 21.
014_엘리스 프로젝트가 궁금하신가요? (2) 본격적인 팀프로젝트 소개서 📄 이제 프로젝트는 2주 차까지 마무리됐다! 지난번 팀 프로젝트 소개 때는 프로젝트 진행의 개요에 대해 설명했다면, 이번에는 조금 더 실질적인 내용을 담아볼까한다. 지난 2주 동안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과정, 어려웠던 점, 그리고 나름의 팁(?)까지 최대한 담아보고자 한다. 물론 각 팀마다 팀을 이끌어가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온전히 필자의 팁이라는 점을 참고하길 바란다. 자 그럼 시작해보자! 하루를 부지런하게 만들어주는 아침 미팅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지금은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각자의 집에서 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통제되지 않은 상황에 놓이게 되다 보니 나도 모르게 늦게 일어나고 싶은 날도 있을 거고 자연스레 게을러질 수 있다. 그렇기에 우리 팀은 매일 아침 11시 (시간은.. 2021. 10. 10.
013_엘리스 프로젝트가 궁금하신가요? 엘리스 트랙의 하이라이트, 팀 프로젝트! 지난 3주간 데이터 분석 과목을 학습하고 실습하면서 그저 정보의 나열이기만 한 '데이터'를 '인사이트'로 만드는 과정을 경험해봤다. 하지만 결국 진정한 경험은 시키는 대로 외우고 따라서 코딩하는 것이 아닌 직접 만들고 부딪히면서 겪는 것! 이를 위해 엘리스에서는 3주라는 시간 동안 팀원을 모집해 함께 기획, 분석, 개발, 배포할 수 있는 프로젝트 주간을 만들었다. 이 3주라는 길고도 짧은 기간 동안 과연 어떤 과정들을 거치게 될까? 너, 내 동료가 돼라! 우선 프로젝트는 크게 두 가지의 메인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지난 1기와는 또 다른 주제가 주어졌는데, 바로 OTT 서비스 데이터 분석 과 배달 서비스 데이터 분석 이다. OTT 프로젝트는 우리가 즐겨 .. 2021. 9. 25.
012_엘리스 트랙 톺아보기 우선 간단하게 공지할 것이 있다! 이번 엘리스 AI 트랙 2기에서 처음 시도하는 '레이서 블로거' 로서 활동하게 됐다. 그동안 배웠던 내용이나 과정들, 그리고 앞으로 배워나갈 것들에 대해서 나름(?) 성심성의껏 적어보고자 한다. 사실 그동안 이 글에 많은 3기 지원생 분들이 이것저것 질문을 주시는 것을 보면서 내가 2기를 지원하려 했을 때 생각이 많이 났다. 아무래도 이제 막 시작한 프로그램이다 보니 정보도 많이 없고 1기 분들이 친.절.하.게.도(?) 경험담이 담긴 글을 거의 적어주지 않으셔서 걱정되는 마음이 좀 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앞으로 지원하실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이 프로그램에 확신을 갖게 하고자 이렇게 글을 적게 됐다. 최대한 실제 겪었던 경험과 프로그램 내용들, 그리고 소감을 적어보고자.. 2021. 9. 9.
반응형